조도초, 개교 100주년 기념 사업 추진중

우리가 자라고 공부했던 조도초등학교가 올해 99회 졸업까지 7114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다가오는 2025년 6월 7일 이면 개교 100주년을 맞이합니다.

본교는 1925년 6월 7일 개교를 한 서남단 보배로운 섬에 위치한 학교로서 나라가 경제적으로 발전이 급진전되고 있을때에도 우리고장의 교육환경이 열악하여 비좁은 교실에서 몇십명씩 공부했던 시절이 엇그제만 같습니다.

우리의 선후배들은 모교를 사랑하고 아끼는 마음으로 약40년 전에 기념비를 세워 개교 60주년을 함께 기념하였고 이제 개교 100주년을 맞이하여 백년의 영광과 졸업생들의 천년의 꿈을 밝혀 나가고자 개교100주년 함께하는 자리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우뚝한 돈대산의 정기를 받아 비바람 거센 파도 두렵지 않은 조도의 후예들로, 지혜를 쌓고 꿈을 키워 미래와 세계의 명예로운 주인공이 되고자 어려운 환경속에서 피나는 노력으로 크나큰 성공을 이루신 동문 여러분께 진심으로 치하를 드립니다.

각양각지에 계시는 동문여러분과 향우여러분께 뜻있는 성원 부탁 드리며, 뜻하는 일들이 이루어 지시고 가정 모두가 편안하고 건강하게 행복하시기를 기원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 4월 18일

조도초등학교 총동문회 사무실 : 전남 진도군 조도면 창리길42

조도초등학교 100주년 기념행사 추진위원장 : 박석암 O1O-6733-2488

조도초등학교 총동문회 계좌 : 농협 351-1349-5571-83 박석암(조도초총동문회)

조도초 개교 100주년 기념 사업 추진 http://www.koreaisland.com/?p=4496

조도초 개교100주년 기념 사업 추진

조도초등학교 개교 100주년 기념 사업 추진과 총동문회 추진위 구성을 위해서 2025년 1월 조도초 강당에서 조도초등학교총동문회 운영위원 및 총동문회장을 추대하였으며, 조도초 개교 100주년 기념 사업에 동문들이 적극 나서기로 하였습니다.

지정학적으로 육지와 다르게 척박한 환경에서 소박한 섬 학교로 1925년 6월 7일 조도공립보통학교로 개교 한 후 지나온 한 세기 동안 수많은 인재 양성과 교육의 중심에 있는 우리들의 모교인 조도초등학교가 2025년 개교 100주년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조도초등학교 제99회 졸업생 6명으로 총7,114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현재 6학급 36명 재학중에 있으며 꾸준한 인구 감소로 농어촌 소규모 학교로 축소 되고 있지만 졸업생들의 마음을 모아 개교 100주년 기념 사업 추진위원회 구성하고 기념 사업을 추진하고자 하오니 동문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와 협조를 부탁 드립니다.

함께한 100년!, 함께 꿈꾸는 100년! 조도초 개교 100주년 기념 관련하여 조도초등학교 총동문회 계좌는 지역농협 351-1349-5571-83 조도초등학교총동문회(박석암) 개설하였고 문의 사항은 조도초등학교총동문회장 (조도초등학교 38회 졸업생) 박석암 o1o-6733-2488 /조도초등학교 운영위원장 진경우 o1o-4535-4779 님께 연락 바랍니다.

조도면 역사와 함께 조도의 교육 역사를 알아보면 진도군지(1979, 하권339쪽), 조도면지(2010, 159쪽), 조도초중고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기록 하였습니다.

1523년(중종18) 남도포 관할인 초도(草島)
1614년(광해6) 영국함대 진도 연안을 정찰
1707년(국종33) 조도관방, 맹성관방 축조, 동구리성 축성, 남도포 만호 소속의 별장(別將)을 상조도에 파견, 수군주둔
1759년(영조35) 행정구역에서 제도(諸島)로 9개면이 있었음,
1816년(순조16) 조도맹성외 외병도 부근 영국함대 정박,
1871년(고종8) 행정구역 제도면(諸島面)으로 10개면으로 유지
1908년(순종, 융희2) 영천학교(조도초등학교 전신)을 유토 출신 박태주씨가 세워 신학문을 편찬 지도 하였다.
1916년 조도환(鳥島丸, 발동선) 조도-진도해창 취항(27톤)
1919년 전국 방방곡곡 3.1독립 만세 운동
1925.04.22 조도공립보통학교 설립인가(4년제)
1925.06.07 조도공립보통학교 개교(4년제)
1937.04.01 조도공립보통학교 편성(6년제)
1937.06.03 조도교 관매간이학교 설립 인가
1938.04.01 조도공립심성소학교(6년제)
1938.04.01 조도 공립심상소학교 명칭 변경
1940.06.30 가사도 심상소학교 설립 인가
1941.01.01 조도 공립보통학교 명칭 변경
1941.06.03 조도 거차간이학교 설립 인가
1941.07.15 거차분교장 설립 인가
1943.04.01 관매 공립초등학교 승격
1945년 일제로부터 광복
1948.06.16 상조도초등학교 설립 인가
1948.06.16 상조도초등학교 성남분교장 설립 인가
1948.09.01 관매국민학교로 명칭 변경
1950.01.01 동거차분교장 설립 인가
1950.01.11 대마분교장 설립 인가
1950.03.10 조도국민학교 개칭
1950.04.01 조도국민학교 명칭 변경
1952.01.15 관사초등학교 설립 인가
1953.07.30 조도고등공민학교 설립 인가
1960년 조도초등학교 졸업생 배구 박서광, 탁구 정윤희, 태권도 박영동 등 국가대표와 실업팀 선수ㆍ감독, 체육교사 배출.
1964.12.19 조도중학교 설립 인가
1965.03.10 조도중학교 개교
1980.04.17 조도실업고등학교 설립 인가
1981.03.10 조도실업고등학교 개교(수산양식과 6, 상업과 3)
1981.03.31 병설유치원 개원(1학급)
1996.03.01 조도초등학교 개칭
1999.03.01 조도고등학교 교명 변경(보통과 모집) 조도중ㆍ고등학교 통합운영
2025.06.07 조도초등학교 개교 100주년

조도 역사와 함께하는 조도면민체육대회

지난 제75주년, 제76주년 광복절에는 코로나19 감염증 확산 예방 차원에서 광복절 기념식 경축사, 만세삼창과 간단한 체육행사를 한정된 49명 인원이 모여 약식으로 체육회원들이 참석하여 치뤘고 작년 제77주년 면민체육대회 행사에 이어 올해 조도 역사와 전통을 이어가게 된다.

이 처럼 과거 선조들이 했던 것 처럼 1945년 8월 15일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광복된 것을 기념하고, 1948년 8월 15일 임시정부 법통을 계승한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경축하는 날로 역사와 전통의 명맥을 이어가는 행사를 빠짐없이 치뤘다.

서남해 끝자락 섬으로만 이루어진 면에선 6ㆍ25동란 1950년을 제외하곤 해마다 빠짐없이 매년 광복절이면 약1500~2000 여명의 주민들과 전국 각지에서 살고 있는 향우들이 여름휴가를 맞춰 고향에 찾아와 한마당 축제를 벌인다.

초창기 학생들이 십시일반으로 행사비용을 모금해 시작 할 시에는 장소가 마땅치 않아 해변 모래밭에서 짚으로 만든 공을 차고, 씨름, 윷놀이, 배구 등의 경기를 치르며 모두의 염원이었던 광복의 의미를 되새겼다.

육지와 떨어진 서남해 섬이지만 체육대회가 거듭되면서 학생들 중에는 배구, 탁구, 하키 등 국가대표와 실업팀 선수ㆍ감독, 체육교사를 배출하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체육인 성지로 자리매김 했다.


과거 면민체육대회를 주관했던 원로들은 “그당시 어려운 시기였지만 외지에 사는 자식들까지 불러 들여 경기를 뛰게 할 정도로 열기가 대단했다”면서 “명절에는 내려오지 못해도 광복절 체육대회에는 찾아오는 경우가 많았다”고 자랑한다.

여름휴가를 내거나 아이들과 함께 마을을 찾는 출향인사들이 체육대회를 참가하기 위해 방문하지만 여러가지 부대행사에 참여하여 육지와 떨어진 척박한 섬에서 지역민과 정을 나누는 문화행사로 꿋꿋하게 선조들로 부터 후손들에게 이어지고 있다.

조도면체육회 상임부회장(박귀동)은 “역사와 전통을 지키고 있는 국내 유일의 광복절 기념 체육대회에 대한 애정이 남달라 그 전통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면서 “각양각지에 타향살이에 지쳐 있는 향우들이 고향을 찾아 모여들면 더욱 활기찬 축제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에는 14일 오전 부터 조도초등학교 운동장과 체육관에서 체육대회 종목별 예선전를 시작으로 배구 결승, 축구 준결승까지 치루고 15일 오전 초등학교 정문에서만 경품권(손목띠-1개인)배부하고 K채널 후원 물품 500개 선착순 배부, 오전 10시 광복절 기념식을 하며, 기념식 후 오전 11시부터 80분간 K채널 후원 초청 가수 공연이 준비되어 풍성하게 꾸며지며 각종 이벤트 행사를 통해 면민들의 즐거운 한마당 축제가 기대 된다.

2022 진도향토문화유산 발표회

진도향토문화유산 제11호 조도농악 2022 발표회 현장

다가오는 계묘년 설명절을 맞이하여 잊혀지고 있는 우리지역의 유산을 보존 전승하고자 하는 주민들 모습을 보여드립니다.


지난해 2022년 12월 22일 진도무형문화재 전수관에서 진도문화원의 날을 기념하면서 진도향토문화유산 발표회를 갖였다.


조도면에서는 문화유산으로 지정 된 제11호 조도농악, 제12호 조도상여소리가 기상악화로 인하여 영상으로 참여하였다.


문화유산을 전승하고자 참여한 주민들의 기록영상 2건을 공유하오니 진도향토문화유산에 더 많은 관심과 성원을 바랍니다.


참고로 조도닻배노래보존회원들과 지역문화유산 보존에 열성적인 주민들이 참여하여 조도닻배노래( http://jododatbae.com )를 통해 https://cafe.daum.net/jododatbae/okTC/36?svc=cafeapi 공유 합니다.

뼈아픈 역사를 기억하는 현장

제77주년 광복절 기념 제76회 조도면민체육대회

오는 8월 14일, 15일 대한민국 서남해 끝자락 178개의 유·무인도로 구성된 진도군 조도면에서는 주민들과 전국 각지에서 향우들이 휴가기간을 맞춰 고향에 찾아와 함께 한마당 축제를 연다.

전국 방방곡곡 3.1독립만세 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고 일제치하 뼈아픈 역사를 아로 새겨 독립의 환희를 받들어 조국 광복을 기념하면서 주민들의 화합 행사를 76년간 우직하게 자부심과 전통으로 지켜나가고 있다.

일제강점기 단재 신채호 선생께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는 미래는 없다’는 정신으로 역사를 잊지 말자고 했던것 처럼 이번 축제 현장에서는 평화의 소녀상, 한국의섬 독도를 우리나라 서남단 섬축제에서 잊지않고 기억하고자 아로새겨본다.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은 옛부터 지정학적 동서양의 문화를 접하는데 있어서 도시와 다르게 섬사람 특유의 정서와 기상으로 척박한 환경에서 살아가지만 섬사람들 특유의 인성으로 희노애락의 소박한 섬 축제를 이어가고 있다.

광복절기념 제76회 조도면면민체육대회는 축구, 배구, 윷놀이, 줄다리기, 육상, 미니마라톤 등의 운동경기와 훌라후프, 어르신 낚시, 신발양궁. 사회자 진행게임, 이하작가의 “보이콧 일본” 스티커 나눔, SNS프레임 포토인증샷 이벤트, 경품추첨, 축하공연 등 다채로운 부대행사로 열리게 된다.

여름 휴가철 전국적인 코로나19 확산이 예상되고 다수가 모이는 곳이라서 반드시 마스크 착용 하여주시기 바라며, 개인적으로 몸이 좋지 않으면 현장에 찾아오지 않도록 하여 축제가 사고 없이 마무리 될 수 있도록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도면체육회장 김월용, 조도면체육회상임부회장 박귀동 배상

76회 조도면민체육대회 사전 홍보 http://www.koreaisland.com/?p=3759

역사를 만들어가는 주민들의 잔치

제76회 조도면민체육대회
제76회 조도면민체육대회 홍보

지난 제75주년, 제76주년 광복절 기념식이 코로나19 감염증 확산 예방 차원에서 광복절 기념식과 체육행사를 한정된 인원으로 모여 경축사, 만세삼창 등을 약식으로 2년간 체육회원들이 참석하여 치뤘다.

이는 과거 선조들이 했던 것 처럼 1945년 8월 15일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광복된 것을 기념하고, 1948년 8월 15일 임시정부 법통을 계승한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경축하는 날로 역사와 전통의 명맥을 이어가기 위해 행사를 치렀다.

서남해 끝자락 섬으로만 이루어진 면에선 6ㆍ25동란 1950년을 제외하곤 해마다 빠짐없이 매년 광복절이면 약1500~2000 여명의 주민들과 전국 각지에서 살고 있는 향우들이 여름휴가를 맞춰 고향에 찾아와 한마당 축제를 벌인다.

초창기 학생들이 십시일반으로 행사비용을 모금해 시작 할 시에는 장소가 마땅치 않아 해변 모래밭에서 짚으로 만든 공을 차고, 씨름, 윷놀이, 배구 등의 경기를 치르며 모두의 염원이었던 광복의 의미를 되새겼다.

육지와 떨어진 서남해 섬이지만 체육대회가 거듭되면서 학생들 중에는 배구, 탁구, 하키 등 국가대표와 실업팀 선수ㆍ감독, 체육교사를 배출하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체육인 성지로 자리매김 했다.

과거 체육대회를 주관했던 원로들은 “그당시 어려운 시기였지만 외지에 사는 자식들까지 불러 들여 경기를 뛰게 할 정도로 열기가 대단했다”면서 “명절에는 내려오지 못해도 광복절 체육대회에는 찾아오는 경우가 많았다”고 자랑한다.

여름휴가를 내거나 아이들과 함께 마을을 찾는 출향인사들이 체육대회를 참가하기 위해 방문하지만 여러가지 부대행사에 참여하여 육지와 떨어진 척박한 섬에서 지역민과 정을 나누는 문화행사로 꿋꿋하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조도면체육회 상임부회장(박귀동)은 “역사와 전통을 지키고 있는 국내 유일의 광복절 기념 체육대회에 대한 애정이 남달라 그 전통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면서 “코로나19로 모이지 못했던 각양각지에 향우들이 모여들면 더욱 활기찬 축제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에는 14일 오전부터 체육대회 종목별 예선전(조도중고등학교에서 배구, 조도초등학교에서 축구)을 치루고 오후에는 특설무대(장소 미정)에서 면민노래자랑(해변가요제)를 8월15일 오전11시부터 광복77주년 제76회 조도면민체육대회를 개최한다.

제76회 조도면민체육대회 보이콧재팬

또한, 한국의섬에서 2022년 8월 15일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에서 개최되는 제77주년 광복절 기념 제76회 조도면민체육대회장에서 한국의섬에서 2019년에 하였던 이하작가의 ‘보이콧 재팬’ 스티커 무료 나눔 포토 인증샷 이벤트를 준비합니다.

이하작가의 ‘Boycott Japan’ 스티커 S.N.S인증샷 이벤트에 참여하는 분은 한국의섬 또는 한국의섬 S.N.S 리스트에 포토인증샷이 공유 될 수 있어 인증샷 거재를 허락하는 분에 한하여 참여 할 수 있습니다.

제73회 조도면민체육대회 알림

일제강점으로부터 1945년 광복 이후 전국 각지에 유학 중인 학생들이 주축이 돼 광복의 기쁨을 나누고 주민 단합을 위해 6ㆍ25동란 1950년을 제외하곤 해마다 빠짐없이 광복절 기념식을 하면서 주민들간 친목을 도모하며 올해로 73년째 빠짐없이 체육대회를 열고 있다.

이번대회는 14일 오후5시부터 전야제로 향우회 만찬회와 한밤의 작은음악회, 15일 오전10시부터 조도초등학교 운동장에서 식전행사와 광복절 기념식과 체육대회 종목별 예선전, 각종 부대행사를 오후 19시30분 면민노래자랑(해변가요제)를 어류포항 특설무대에서 이튼날 16일에는 종목별 결승전과 시상식까지 열게 됩니다.

제74주년 광복절 기념 조도면면민체육대회는 축구, 배구, 윷놀이, 미니 마라톤, 줄다리기 등의 종목별 운동경기와 훌라후프, 어르신 낚시걸이, 사회자 진행게임, 이하작가의 “보이콧 일본” 스티커 나눔, SNS프레임 인증샷 이벤트 등 다채로운 부대행사로 주민들이 함께 재밌게 즐기는 축제가 열리게 된다.

오는 8월 15일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에서 개최되는 제74주년 광복절 기념 제73회 조도면민체육대회장에서 이하작가의 ‘보이콧 재팬’ 스티커 무료 나눔 포토 인증샷 이벤트를 준비하였습니다.

이하작가의 ‘Boycott Japan’ 스티커 S.N.S인증샷 이벤트에 참여하는 분은 한국의섬 또는 한국의섬 S.N.S 리스트에 포토인증샷이 공유 될 수 있어 인증샷 거재를 허락하는 분에 한하여 참여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섬 http://KOREAiSLAND.com

네이버밴드 https://band.us/koreaislands

카카오스토리 https://story.kakao.com/koreaislands

트위터 https://twitter.com/koreaislands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koreaislands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koreaislands

제73회 조도면민체육대회 안내

오는 8월 15일 광복을 기념하는 날 대한민국 서남해 끝자락 178개의 유·무인도로 구성된 진도군 조도면에서는 지역주민들과 전국 각지에서 살고 있는 향우들이 휴가기간을 맞춰 고향에 찾아와 함께 73번째 한마당 축제를 연다.

일제강점으로부터 1945년 광복 이후 전국 각지에 유학 중인 학생들이 주축이 돼 광복의 기쁨을 나누고 주민 단합을 위해 6ㆍ25동란 1950년을 제외하곤 해마다 빠짐없이 광복절 기념식을 하면서 주민들간 친목을 도모하며 올해로 73년째 체육대회를 열고 있다

초창기 체육대회를 개최 할 시에는 장소가 마땅치 않아 해변 모래밭에서 짚으로 만든 공을 차고, 씨름, 배구 등의 경기를 치르며 주민들이 함께 모여 체육행사와 더불어 일본의 만행을 바로 알고 광복의 의미를 되새겼다.

도시에서 유학생들이 십시일반으로 행사비용을 모금해 시작됐지만 지금은 조도면체육회가 주축이 돼 각 마을 청년과 향우들이 참여한 가운데 행사부터 한마당 마을잔치까지 다채로운 행사를 치르고 있다.

과거 체육대회를 주관했던 원로들은 “그당시 어려운 시기였지만 체육대회가 열리면 외지에 사는 자식들까지 불러 들여 경기를 뛰게 할 정도로 열기가 대단했다”면서 “명절에는 내려오지 못해도 체육대회에는 찾아오는 경우가 많았다”고 자랑했다.

또한, 서남해 섬이지만 체육대회가 거듭되면서 학생들 중에는 배구, 탁구 등 국가대표와 실업팀 선수ㆍ감독, 체육교사를 배출하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체육인 성지로 자리매김 했다.

전국 방방곡곡 일제치하 뼈아픈 역사를 아로 새겨 독립의 환희를 받들어 조국 광복을 기념하면서 주민들의 화합 행사로 73년째 자부심과 전통을 지키고 있는 조도면민체육대회는 광복의 특별한 의미까지 더해지면서 지역주민들의 가장 큰 자랑거리다.

이번대회는 조도면사무소에서 14일 오후6시 전야제로 향우회 만찬회와 한밤의 작은음악회, 조도초등학교 운동장에서 15일 오전10시부터 식전행사, 오전11시부터 광복절 기념식과 체육대회 종목별 예선전, 각종 부대행사, 어류포항 특설무대에서 오후 19시30분 면민노래자랑(해변가요제)를 이튼날 16일에는 종목별 결승전과 시상식까지 열게 된다.

광복절기념 제73회 조도면면민체육대회는 축구, 배구, 윷놀이, 미니 마라톤, 줄다리기 등의 종목별 운동경기와 훌라후프, 어르신 낚시걸이, 사회자 진행게임, 이하작가의 “보이콧 일본” 스티커 나눔, SNS프레임 포토인증샷 이벤트 등 다채로운 부대행사로 열리게 된다.

조도면민체육대회는 지정학적으로 동서양의 문화를 접하는곳에서 도시와 다르게 섬사람들 특유의 정서와 기상으로 이웃과 따뜻한 정을 나누며 희노애락의 현장으로서 대한민국 대표 섬 문화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기타문의 사항은 체육회 사무국장 김영관 및 사무간사 061-540-6805로 문의 바랍니다.

출처: 조도면체육회( http://cafe.daum.net/jodo815 ) , 한국의섬( KOREAiSLAND.com )

2018 전라도 방문의해

올해는 전라도가 생긴지 1,000년이 되는 해이다. 『전라도 천년』에서는 1000년을 맞이한 전라도의 기원부터 전라도에서 탄생한 인물들의 흥이 넘치는 삶, 그들의 생각과 사상, 그리고 전라도의 자연 등을 소개한다.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가 올해 전라도 정도 천년을 맞아 전라도 이미지 개선, 문화관광 활성화, 대표 기념행사, 학술문화행사, 문화유산 복원, 랜드마크 조성, 천년숲 조성 등 7대 분야 30개 사업을 공동 추진한다.

지난 천년 전라도는 삼별초항쟁, 동학농민혁명, 의병항쟁, 5.18민주화운동 등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는 결연히 일어나 역사의 물줄기를 바로 잡았던 의향이었다. 넓은 평야와 바다 덕분에 16세기 가장 많은 인구가 살았던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였다.

올해를 ‘전라도 방문의 해’로 정하고, ‘전라도 관광 100선’을 확정해 홍보하고 있다. ‘전라도 천년 테마 여행상품’과 ‘모바일 스탬프투어’도 3월부터 본격 운영한다. 미래 잠재 관광객인 국내외 청소년들에게 전라도 문화와 역사를 알리는 ‘청소년 문화 대탐험단’을 운영하고, 10월에는 ‘국제 관광컨퍼런스’를 개최해 아시아 관광의 중심으로 도약할 전라도의 비전을 확립할 예정이다.

다양한 문화예술 행사와 전라도의 미래 비전을 기획하는 학술행사도 열린다. 전라도 천년 명품 특별전,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천년의 꿈’, 광주시립창극단 특별공연, 전북도립미술관 전라 밀레니엄전, 전라도 미래천년 포럼, 전북도립국악원 ‘전라천년’ 특별공연이 잇따라 열릴 예정이다.

전라도 천년을 상징 할 랜드마크도 조성된다. 전남도는 나주 영산강 일원 5만㎡의 부지에 테마별 ‘천년 정원’을, 광주시는 구도심인 금남로·충장로·광주공원 등지에 경관 문화관광 거점인 ‘천년의 빛 미디어 창의파크’를, 전북도는 전주 구도심 전라감영 일대에 현대적 밀레니엄 공간으로 ‘새천년 공원’을 각각 조성한다. 후손을 위한 관광생태자원으로 전라도 천년 숲이 조성된다.

전남도는 서남해안 16개 시·군에 걸친 522㎞의 해안을 따라 ‘천년 가로수길’을 만든다. 광주시는 무등산·광주호·가사문화 누정 등 전라도를 대표하는 자연과 역사문화자원을 보전·활용하는 방향으로 ‘무등산 남도피아’를, 전북도는 진안 백운면 일원에 생태치유공간인 ‘국립 지덕권 산림치유원’을 각각 조성한다.

주순선 도 정책기획관은 “전라도 천년 기념사업을 내실있게 추진해 전라도에 대한 국민들의 바른 이해를 돕고, 다가오는 새천년 전라도가 힘차게 비상하는 계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역사를 기억하는 축제 현장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은 옛부터 지정학적 동서양의 문화를 접하는데 있어서 도시와 다르게 섬사람 특유의 정서와 기상으로 척박한 환경에서 살아가지만 섬사람들 특유의 인성으로 희노애락의 소박한 섬 축제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전국 방방곡곡 3.1독립만세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고 일제치하 뼈아픈 역사를 아로 새겨 독립의 환희를 받들어 조국 광복을 기념하면서 주민들의 화합 행사를 70년 우직하게 자부심과 전통으로 지키고 있다.

일제강점기 단재 신채호 선생께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는 미래는 없다’는 정신으로 역사를 잊지 말자고 했던것 처럼 이번 축제 현장에서는 해학과 풍자로 행동하는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가를 초청하여 주민들의 초상화로 역사를 새겨본다.

일본천왕에게 혈서로 충성을 맹세한 박정희(일본명 다까기 마사오) 탄생 100년 기념 우표 발행이 좌절돼 아쉬워하는 매국노들을 달래주기 위해 시민운동가 둥굴교 교주 박성수씨가 발행한 ‘닭까기 마사오 탄생100년 기념 웃표’ 나눔행사도 함께 진행한다.

우리지역에서 일어난 세월호 침몰사고로 전국민 트라우마로 남아 치유되지 못한 아픈 역사 일지라도‘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는 선조들의 역사적 가르침에 따라서 오롯 기억하고자 노란리본, 노란팔찌 나눔 행사도 한다.

※ 8월10일 현재까지 행사당일 기상예보는 비가 예상되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출 처 : 조도면체육회( http://cafe.daum.net/jodo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