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2018년12월20일(목) ‘세월호유치 진도군민연대’가 진도군청 앞에서 진도군민을 대상으로한 세월호선체 진도유치 찬반여부를 묻는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정부와 진도군과 군의회에 세월호 선체 진도유치 촉구 기자회견을 하였습니다.
지난 5월18일부터 24일까지 세월호선체조사위원회가 국민 1천명을 대상으로 거치장소를 묻는 설문조사결과도 진도군이 37%로 가장 높게 나왔으나 이런 결과를 무시하고 일부 언론이 한 두 사람의 반대 의견을 들어 마치 진도군민들이 선체유치를 반대 하는 것처럼 호도하거나 왜곡 보도하였다는 것은 심히 개탄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에 지난 2018년 12월 11일 “세월호 선체 유치”에 대한 진도군민들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진도사랑연대회의가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중 60.2%의 높은 찬성률로 세월호 선체의 진도 유치에 대한 찬성여론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세월호유치 진도군민연대’는 경각심을 갖고 진도 관내 사회단체에 협조문을 발송하여 공감대를 같이 하는 여러 단체와 연대하여 세월호 선체 진도유치는 물론 세월호 파생 문제의 바른 해결과 피해복구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고 오늘 기자회견도 갖은 것이다.
한편, 지난 12월 11일(화) 가습기살균제사건과 4.16세월호참사 국민조사 특별조사위원회(약칭: 사회적 참사 특조위) 가 조사활동을 개시했으나 세월호 유가족들과 시민들은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진상규명의 확고한 의지를 표명할 것과 특별조사단과 같은 기구를 구성하여 전면 재수사에 착수 할 것을 계속 요구해 오고 있다.
지난 선체조사위원회의 활동을 보면서 특정 기구 위원들의 ‘합의’로는 진실이 밝혀질 수 없음을 똑똑히 경험하고 진실은 합의의 대상이 될 수 없으며, 만일 정부가 어떤 이유로든 특조위라는 기구를 통해 세월호의 진실을 ‘적당한 선’에서 매듭지을 요량이라면 큰 오산이 아닐 수 없다.
세월호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마지막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고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아 전면 재수사에 착수할 것을 촉구하고 있는 가운데 가습기살균제사건과 4.16세월호참사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중요한 사실을 알고 계신 분 또는 직‧간접적으로 관련 있는 분들의 양심적인 결단과 공익제보로 우리 사회가 보다 정의롭고 안전한 사회가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 부탁드립니다.
세월호 참사 여파로 생계에 어려움을 격고 있는 진도군민들을 돕기위한 희망장터가 경기도 안산시청에서 열린다는 소식입니다.
오는 19, 20일 이틀간 안산시청 본관 앞 광장에서 “‘보배섬 진도 명품’ 직거래 희망 장터”는 진도군민에 대한 감사의 취지로 안산시와 진도군이 공동으로 장터를 개설하게 됐다.
직거래 희망장터에서는 진도 농·수·특산물 판매, 시식·시음, 사은품 증정 등 청정지역에서 생산된 진도특산물 김, 미역, 다시마, 멸치, 새우 등 건어물과 찹쌀, 흑미(검정 쌀), 찰보리쌀 등 곡물, 구기자차, 울금 차, 홍주, 전복 장조림 등 50여 점이 선을 보인다.
진도군 박우광 유통홍보담당은 “양 지자체가 농수특산물 직거래 장터를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방안 등을 검토해 상생의 계기를 만들어 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오늘 이주영 범정부사고대책본부장은 진도 군민 지원 관련하여 신문․방송 언론사에 서한을 보내 세월호 사고 수습의 장기화로 진도군민과 지역이 겪고 있는 경기침체 및 생활불편 등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홍보 협조를 요청하였습니다.
특히, 금년 하계 휴가철을 맞아 신문과 방송 등 언론매체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진도의 명소와 지역 특산품 소개, 진도방문 홍보 등을 활성화해 달라고 요청하며, 기획재정부 등 중앙행정기관(부․처․청)에 공문을 보내 추석 등을 계기로 선물을 구입 할 경우 진도 특산물을 구매해 줄 것과 판매촉진을 위한 직거래 행사를 개최해 달라고 협조 요청하였습니다.
□피해자 가족 및 진도주민 지원현황(7.16. 기준)
ㅇ 피해가족 생활안정자금 : 443세대 990백만원
ㅇ 피해가족 긴급복지지원금 : 400세대 1,154백만원
ㅇ 진도지역 주민 생활안정자금 : 1,190세대 1,015백만원
ㅇ 수색 참여 어선 보상금 : 165척 4,286백만원
ㅇ 진도지역 어가 특별영어자금 : 500어가 14,543백만원